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것 아시나요

8편. 도시농업 전문가, 녹색 미래를 설계하는 직업 본문

전문 영역 정보

8편. 도시농업 전문가, 녹색 미래를 설계하는 직업

현룡재전25 2025. 5. 4. 15:45

 

 

도시에서도 농업이 가능할까요? 대답은 '그렇다'입니다. 기후 변화, 식량 위기,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농업 전문가라는 직업이 새롭게 조명받고 있습니다. 건물 옥상, 유휴 공간, 실내 공간까지 다양한 장소가 농작물 재배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농업 전문가라는 미래형 직업의 역할, 필요 역량, 그리고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도시농업 전문가란?

 

도시농업 전문가는 도시 내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고 이를 통해 건강, 환경, 교육, 커뮤니티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를 창출하는 전문가입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시 공간을 활용한 농업 계획 및 설계
  • 친환경 재배 기술 지도 및 컨설팅
  • 도시민 대상 교육 프로그램 기획
  • 커뮤니티 가드닝 프로젝트 운영
  • 관련 정책, 법규 분석 및 개선 제안


왜 유망한 직업인가?

  • 기후 위기 대응: 로컬푸드를 통한 탄소 배출 감소 및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
  • 식량 안보 확보: 수입 식품 의존도를 줄이고 자급률을 높이는 데 기여
  • 건강한 생활과 웰빙 문화 확산: 자연과의 접촉을 통한 정서적 안정 및 치유 효과
  • 지자체와 정부의 적극적 지원: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확대와 예산 지원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1. 농업 및 원예에 대한 지식
    • 작물 재배법, 토양 관리, 유기농법 등 기초 농업 기술
  2. 친환경 기술 활용 능력
    • 수경재배, 스마트팜, 컴포스트(퇴비) 제작 등 친환경 방식 적용
  3. 도시계획 및 조경 설계 감각
    •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설계 및 공공 디자인 이해
  4.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 일반 시민 및 학생 대상 농업 교육 기획 및 운영

진출 가능 분야는?

  • 노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
  • 요양병원, 실버타운, 노인주거시설
  • 지자체 및 복지행정기관
  • 민간 사회복지 서비스 기업
  • 방문 상담 서비스 운영기관

특히 최근에는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의 확대와 함께 전문 코디네이터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준비할까?

  •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등의 자격증 취득
  • 노인복지학, 사회복지학 관련 전공 이수
  • 현장 실습 및 인턴십 경험 축적
  •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 관련 교육 이수

마무리하며

노인복지 코디네이터는 단순한 돌봄 제공자가 아닌, 노인의 삶 전체를 함께 설계하는 삶의 동반자입니다. 따뜻한 마음과 체계적인 지식을 갖춘 인재라면, 이 직업에서 큰 보람과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도시농업 전문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직업’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